전세계국가 : 284개국 이런 한글은 이미 UN 에서 '세종대왕 문맹퇴치상(King Sejong Literacy Prize)' 이라는 상을 제정하였다. 한글은 14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으로 8,000여가지의 음을 발음할 수 있다. 따라서 이런 편의성에 근거하여 약 10여년전 만들어진 문맹퇴치상외에도 제 3세계 국가들에게 한글을 전파하고 있다. ![]() ▲ 제 3세계(주로 아프리카)에서 가르치는 한글방법 ![]() ▲ 한글 알파벳 설명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한국어를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 한글을 가르친다는 것. 즉, 한국어로 현재의 단어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한글을 통한 그 나라 언어의 발음을 가르친다는 취지로 사용되고 있다. 예를 들어 school 이라는 낱말을 '학교' 가 아니라 한글의 'ㅅㅡㅋㅜㄹ'의 형태로 가르친다는 이야기. ![]() ▲ 한글을 배우는 아이들 (잠비아) ![]() ▲ 세계공용어용 한글 발음표 ![]() ▲ 유네스코가 점수를 준 부분, 기능성. 기능성을 소개하면서 한글 키보드를 보여주고 있다. ![]() ▲ 한글 수업시간 (탄자니아) ![]() ▲ 한글수업 맨 첫장 |